java 4

프로그래머스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(JAVA)

문제 설명 정답 class Solution { 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 int[] answer = new int[s.length()]; // 문자열의 길이만큼 반복 for(int i=0; i substring 메서드로 현재 문자열의 직전 문자열까지 추출한다. -> 추출한 문자열 중에서 현재 문자열의 lastIndex를 추출한다. -> 추출한 문자열 중에서 현재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다면 -1을 index 변수에 저장한다. -> 존재한다면, 마지막 인덱스 번호를 index변수에 저장한다. -> index번호를 이용해서 (현재 문자열의 인덱스번호 - index(이전 문자열중 현재 문자열의 마지막 위치)) 의 값을 answer 배열에 넣어준다. 배운것 lastIndexOf( ..

프로그래머스 2023.11.27

▶GROUP BY◀

SELECT문 해석 순서 5 : SELECT 컬럼명 AS 별칭, 계산식, 함수식 1: FROM 참조할 테이블명 2: WHERE 컬럼명 | 함수식 비교연산자 비교값 3 : GROUP BY 그룹을 묶을 컬럼명 4 : HAVING 그룹함수식 비교연산자 비교값 6 : ORDER BY 컬럼명 | 별칭 | 컬럼순번 정렬방식 [NULLS FIRST | LAST] GROUP BY절 - 같은 값들이 여러개 기록된 컬럼을 가지고 같은 값들을 하나의 그룹의 묶음 - 작성법 : GROUP BY 컬럼명 | 함수식 .... - 그룹으로 묶은 값에 대해서 SELECT절에서 그룹함수를 사용함 - 그룹 함수는 단 한개의 결과값만 산출하기 때문에 그룹이 여러개일 경우 오류 발생 - 여러개의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 그룹 함수가 적용된 그..

ORACLE DB 2023.05.25

►형변환◀︎

* 형변환(Casting) - 형변환이란 값의 자료형을 변환하는것이다 (단 boolean은 제외) -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같은 자료형끼리만 연산이 가능하다. 다른 자료형과 연산시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이 형 변환이다. * 자동 형변환 - 값의 범위가 큰 자료형과 값의 범위가 작은 자료형의 연산시에 작은 자료형 -> 큰 자료형으로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환되는것 ---->>>. int i3 변수에 ch3변수를 대입하면서 자연스럽게 char -> int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게된다. * 강제 형변환 - 기존 자료형을 원하는 자료형으로 강제 변환 시키는 것 - 값의 범위가 큰 자료형 -> 값의 범위가 작은 자료형 으로 변환할때 사용 - 자료형을 변환시키고 싶은 값 또는 ..

JAVA 2023.04.17

►변수◀︎

* 변수(Variable) - 메모리(RAM)에 값을 기록하는 공간 - 공간에 기록되는 값(Data)이 변할 수 있어서 변수라고 한다. - 변수는 여러종류가 존재한다(저장되는 값의 형태, 크기가 다르다) * 변수 사용의 장점 - 가독성 증가(읽기 편해짐) - 재사용성 증가(한번 만든 변수를 계속 사용) - 코드 길이의 감소 - 유지보수성 증가(코드 수정이 간단해짐) * JAVA 기본 자료형 8가지 - 논리형 : boolean(1byte) - 정수형 : byte(1byte), short(2byte), int(4byte), long(8byte) (long 타입의 리터럴값에는 끝에 소문자 'l' 이나 대문자 'L' 를 붙여줘야한다.) - 실수형 : float(4byte), double(8byte) (float..

JAVA 2023.04.17